본문 바로가기

기록자의루틴2

기록도 체력이 필요하다는 걸 요즘 알게 되요 하루에 글을 15개씩 씁니다.네이버 블로그에도 2~3개 올리고,틱톡엔 하루에 한두 개 영상을 올려요.처음엔 재미있었어요.“내가 이렇게 꾸준할 수 있구나.”“이렇게 기록할 수 있다면, 뭐든 할 수 있겠다.”그렇게 스스로에게 감탄하며 버텼죠.그런데 요즘은 느껴요.기록도 ‘체력’이 필요하다는 걸요.몸이 피곤하면 글이 잘 안 써지고,눈이 피로하면 단어들이 엉켜 보이고,마음이 지치면 진심이 아닌 글이 나와요.기록은 생각보다 에너지를 많이 써요.단어 하나 고르고, 문장 하나 만들고,그걸 올릴 플랫폼을 정하고,이미지를 만들고, 태그를 붙이고,누가 볼지도 모르는 글에 마음을 다 써요.그러다 보면, 어느 순간 숨이 차요.조용히, 혼자, 성실히 써온 사람이 지치기 시작해요.그래서 요즘은 ‘회복 루틴’도 함께 만들고 있어요.. 2025. 5. 18.
나는 요즘, 기록을 살아내는 중입니다 요즘 나의 하루는 조금 다릅니다.누가 시키지 않았지만, 스스로 정한 루틴이 있어요.하루에 티스토리 글 15개를 씁니다.네이버 블로그에는 2~3개의 글을 정리해 올리고,틱톡엔 한두 개의 감성 콘텐츠를 올립니다.누군가는 “그걸 매일 한다고?”라고 묻겠지만,저는 이렇게라도 살아내고 있다는 걸 증명하고 싶었어요.무언가를 꾸준히 쓴다는 건, 단순한 성실함 이상의 감정이 들어 있어요.불안함, 초조함, 기대, 희망, 그리고 아주 작은 성취감까지요.글을 쓰는 일이 기록이라면,기록을 계속하는 일은 '살아 있는 증거'라고 생각해요.어떤 날은 쉽게 써지고,어떤 날은 단 한 줄도 버거울 때가 있지만그래도 저는 씁니다. 조금씩, 하지만 절대로 멈추지 않고요.이 루틴은 나를 조급하게 만들기도 하지만,한편으론 나를 가장 ‘나답게’.. 2025. 5. 17.